해시태그
아들 낳는 법, 딸 낳는 법이 따로 있다?
해시태그

‘커피 많이 마시면 딸 낳는대요’ 임신을 준비하는 커플에게서 이런 얘기, 한 번쯤 들어보셨죠? 무엇을 먹으면 아들이 나온다더라, 관계를 언제 하면 딸이라더라, 하는 식의 태아 성별에 대한 ‘카더라’가 참 많은데요. 과연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요? 속설의 진위여부를 연구에 기반해 뜯어봤습니다.

이런 사람이라면 필독🙄

  • 임신에 대한 속설의 진실이 알고 싶은 사람

  • 딸과 아들 낳는 왕도가 있는지 궁금한 사람

    



배란일은 임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날이죠. 그리고 흔히 배란기라고 하면 배란일 이전 3일, 배란일 이후 1일을 말합니다. 난자와 정자의 생존일을 따졌을 때 둘의 만남이 성사될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이에요. 그런데! 딸을 원한다면 배란일 이전에 관계하라는 말이 있는데요.😮

이는 Y 염색체 정자가 X 염색체 정자보다 질 내 산도에 취약하다는 배경에서 나왔어요. 곧 Y 정자의 경우 pH가 높은 질 내 환경에서 오래 살아남지 못한다는 가설이죠. 미리 약속장소에 나가봤자(?) 그전에 죽으니까요. 반면 X 염색체 정자는 상대적으로 산도에 강하니, 배란일보다 미리 관계를 한다면 여성 몸속에서 난자를 대기하다가 수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취지예요. 과연 그럴까요?




2015년에 이뤄진 한 연구는 산도에 따라 정액의 Y 염색체 정자와 X 염색체 정자의 비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봤어요.¹ 이를 위해 연구진은 19~26세의 건강한 남성으로부터 정액 샘플 18개를 채취했어요. 그리고는 pH 5.5에서 pH 9.5까지의 각기 다른 pH에 정자를 노출하고 X와 Y 염색체 비율을 살펴봤죠.

과연 pH 수준에 따라 X 정자와 Y 정자 비율에 특정한 흐름이 나타났는데요. 그렇지만 pH가 낮아질수록 X 정자가 강세인 건 아니었어요. 왜냐하면 pH가 살짝 낮아졌을 땐 Y 염색체 정자도 X 염색체 정자 이상으로 늘어났거든요. 곧 Y 정자라고 산도에 취약하다고 단정 짓긴 힘들다는 것!

산성도가 강한 아메리카노를 많이 마시면, 딸을 낳을 확률이 높다는 말도 이와 비슷한 접근! 배경은 있는 이야기이지만, 아직 과학적 근거를 갖추기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.😅



‘질 안쪽으로 깊게 사정하면 아들을 낳는다’는 속설도 있는데요. 참고로 여성의 질은 7~14cm고, 남성의 음경은 12cm 전후입니다.² 이를 고려하면 ‘깊은 사정’의 기준부터 따져봐야 할 텐데요. 논쟁은 차치하고, 워낙 유명한 설이니 분석해 볼게요.😅

과연 ‘깊게 삽입하면 아들이다’라는 말은 왜 나왔을까요? 여기엔 편견이 자리하는데요. 산도에 취약하지만 달리기가 빠른 Y 염색체 정자의 경우 자궁경부 입구까지 깊숙이 삽입해 사정한다면, 질 내 산도를 견디고 먼저 나팔관에 도착할 수 있다는 추측이죠. 곧 깊은 삽입이 Y 정자에게 난자를 만나는 가산점을 준다는 것!

하지만 Y 정자가 X 정자보다 빠르다는 과학적 근거는 부족합니다. Y 정자가 산도에 취약하다는 주장 역시 앞서 2번에서 살펴본 것처럼 애매하고요. 물론 낮은 pH, 고온, 산화 스트레스가 늘어난 상태에서는 Y 염색체 정자가 느려진다는 연구결과는 있어요.

하지만 이는 단순히 Y 정자가 태생적으로 느리다는 의미는 아니죠. 반대로 X 염색체에만 있는 특정 단백질이 자극받을 경우 X 염색체 정자가 느려지는 연구도 최근 발표됐는데요.³ 이는 역으로 정자가 처한 환경에 따라 빨라지는 정자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.

만약 Y 염색체가 X 염색체에 비해 느리다면, 매번 수정에서 X 정자가 이길 테고, 세상은 여성으로 가득 찰 거예요.🙆‍♀️🙆‍♀️🙆‍♀️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. 염색체에 따른 정자의 운동성 역시 보다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답니다.




임신과 성별에 대한 속설, 잘 만나보셨나요? 이 같은 얘기가 끊이질 않는 데에는 확률의 탓이 큽니다. 예측이 맞으면 맞는 대로, 틀리면 틀리는 대로 50:50이니까요. ‘내 주변에 맨날 커피 먹고 딸 낳은 사람 있어’ 같은 경험의 오류죠. 통계적으로는 그렇지 않은 데도요. 그래도 조금은 수긍이 가는 부분도 있었는데요. 또 임신과 출산에 대해 들어본 루머가 있다면 남겨주세요!😁




  1. Oyeyipo, Ibukun P et al. “Environmental Exposure of Sperm Sex-Chromosomes: A Gender Selection Technique.” Toxicological research vol. 33,4 (2017): 315-323.

  2. , 부산의대 비뇨기과학교실

  3. , YTN 사이언스, 2019년 8월 14일

5796

WORLD SHIPPING

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:

GO
닫기
포 카지노 카지노 정선 로투스 카지노 지니 카지노 뉴 헤븐 카지노 루피 카지노 온카판 텐카지노 티모카지노 토르카지노 도라에몽카지노